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아슬아슬한 상태" "일촉즉발의 상황" "재빠른 동작"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아슬아슬한 상태", "일촉즉발의 상황", "재빠른 동작", "빠른 움직임", "(비행기의) 착륙 다시하기"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touch and go'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접촉하고(touch) 나서(and) 가다(go)"가 되지만 실제로는 "아슬아슬한 상태", "일촉즉발의 상황", "재빠른 동작", "빠른 움직임", "(비행기의) 착륙 다시하기" 등을 뜻한다. 'touch and go'를 단어 뜻 그대로를 단순하게 생각해 보면 "스치고 나서 바로 가는 것"이므로 재빠른 동작이나 빠른 움직임을 뜻하기도 하고, "아슬아슬 스치면서 가는 것"이므로 아슬아슬한 상태나 일촉즉발의 상황을 뜻하기도 한다.  또한 비행기가 착륙하다가 한번 실패하여 다시 착륙을 하는 것을 뜻하기도 하는데 이는.. 더보기
"도가 지나치군" "너무 심하군"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도가 지나치군", "정도가 지나치군", "너무 심하군"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go too far'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너무(too) 멀리 (far)가다(go)"가 되지만 실제 사용하는 의미는 "도가 지나치군", "정도가 지나치군", "너무 심하군" 등 사람의 행동이 너무 지나쳤을 때 쓸 수 있는 표현이다.  물론, 장소의 이동이나 물리적 거리의 차이를 나타낼 때도 사용할 수 있다.  '~go too far'를 영어로 뜻 풀이를 해 보면, 'to behave in a way that upsets or annoys people'이 되는데 이는 사람들을 짜증나게 하거나 화가 나게 할 정도로 도가 지나쳤을 때 쓸 수 있는 표현이다.  예문을 들어 보면,  He's always been.. 더보기
"이렇게 될 줄 몰랐어" "이럴 줄 몰랐어"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이렇게 될 줄 몰랐어", "이럴 줄 몰랐어"는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 '~not see it coming'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그것이(it) 오는 줄(coming) 보지 못하다(not see)"가 되지만 실제로는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일들이 벌어졌을 때 쓸 수 있는 표현, "이렇게 될 줄 몰랐어", "이럴 줄 몰랐어" 등의 의미를 가진다. 반대의 경우로, "이렇게 될 줄 알았어", "이럴 줄 알았어"는 부정을 뜻하는 'not'을 빼고 그냥 '~see it coming' 이라고 하면 된다. 예문을 들어 보면,  I didn't see it coming at all. 이렇게 될 줄 전혀 몰랐어.  I didn't see it coming. 이렇게 될 줄 몰랐어. I saw it coming. .. 더보기
"입이 싸" "말이 많아" "수다쟁이야"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입이 싸", "말이 많아", "수다쟁이야" 등을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big mouth'라는 재밌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큰(big) 입(mouth)"이지만 실제 사용되는 의미는 "입이 싼 사람", "말이 많은 사람", "수다쟁이" 등을 뜻한다. 구문을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a big mouth' 앞에 'be동사(am, are, is)'를 붙여도 되고, 'have'동사나 'get'동사를 붙여도 된다.  예문을 들어 보면,  That guy is a big mouth. 그 남자는 너무 수다스러워.  I wish she would keep her big mouth shut at times. 아무튼 그녀가 때로 말 많은 입 좀 다물어 줬으면 좋겠어.  Mark drives me up th.. 더보기
"이런 식으로 가다간" "이래 가지고는"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이런 식으로 가다간", "이래 가지고는", "이런 식으로 가면", "이대로 간다면"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at this rate'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이 비율로(at this rate)"가 되지만 실제로 사용되는 뜻은 "이런 식으로 가다간", "이래 가지고는", "이런 식으로 가면", "이대로 간다면" 등이고 긍정과 부정에 모두 쓰일 수 있다. - 부정 해석 : "이런 식으로 가다간", "이래 가지고는"- 긍정 해석 : "이런 식으로 가면", "이대로 간다면" 예문을 들어 보면,  At this rate, we'll soon be bankrupt. 이런 식으로 가다간 우린 곧 파산하고 말 것이다.  At this rate, the concert's sure to be a suc.. 더보기
"밑져야 본전이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밑져야 본전이다"라는 말은 "밑졌대야 이득을 보지 못했을 뿐 본전은 남아 있다는 뜻으로, 일이 잘못되어도 손해 볼 것은 없다는 말"이다.  "밑져야 본전이다" 를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nothing to lose'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잃을 것이(to lose) 아무 것도 없다(nothing)"가 된다.  즉, 뭔가 잘못되더라도 손해 볼 것은 없다는 뜻으로 의역하면 한국 속담 "밑져야 본전이다"라는 말과 같은 의미를 갖게 된다. 'nothing to lose'를 영어로 다시 설명하자면, 'to be in a situation that could improve by doing something and that will not be any worse if you fail at it'가 된다.. 더보기
"시간이 말해 줄거야"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시간이 말해 줄거야"라는 말은 "시간이 지나고 나면 알게 될거야", "시간이 지나 봐야만 알 수 있을거야" 등의 의미다.  우리말에도 이런 말이 있듯이 영어에도 똑 같은 표현이 있다.  'time will tell'이 바로 그 표현인데 직역하면, "시간이(time) 말해(tell) 줄거야(will)"가 되므로 우리말의 표현과 정확하게 일치한다. 예문을 들어 보면,  Only time will tell if the treatment has been successful. 그 치료가 성공적인지는 시간이 지나 봐야만 알 수 있을 것이다.  Will you have a successful life? Only time will tell! 너는 성공적인 삶을 살게 될 것 같아? 시간만이 말해 줄 수 있지! Do y.. 더보기
"화해하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화해하다"라는 뜻을 가진 영어표현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reconcile (with), 'be reconciled (with)', 'make up (with)', 'make (one's) peace (with)' 등이 있는데 이런 표현들보다 자주 사용되고 있는 관용표현이 하나 있다. 'bury the hatchet'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손도끼를(hatchet) 땅에 묻다(bury)"가 되지만 손도끼 즉, 무기를 땅에 묻어버린다는 얘기는 화해하자는 의미가 되므로 "화해하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도끼의 종류에는 'hatchet'과 'axe'가 있는데 아래 그림과 같이 손잡이가 짧은 손도끼는 'hatchet'이고,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손잡이가 비교적 길게 생긴 도끼는 'axe'다. 예문을 들.. 더보기
"죽여준다" "끝내준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죽여준다", "끝내준다"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죽여준다", "끝내준다"라는 말은 정말 좋다는 뜻이다.  그래서, 영어로 'excellent', 'very good'이라고 말하면 되지만 우리말 중에도 단순하게 그냥 좋다는 표현 외에 "죽여준다", "끝내준다" 등의 표현을 쓰듯이 영어에서도 마찬가지다.  'to die for'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무엇을 위해서(for) 죽다(to die)"가 되지만 실제로는 "매우 좋다"는 뜻을 가지고 있고, 우리말의 "죽여준다", "끝내준다" 등과 같이 속어로 사용된다.  방금 설명한대로 'to die for'는 "매우 좋다"는 뜻을 "죽여준다", "끝내준다" 등의 속어로 표현한 것인데 매우 좋다는 것는 정말 갖고 싶은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래서.. 더보기
"구미(口味)가 당기다" "솔깃하다" "끌리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구미(口味)가 당기다", "솔깃하다", "끌리다", "땡기다", "유혹적이다"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우선 우리말 "구미(口味)가 당기다"라는 말은 "욕심이나 관심이 생기다"라는 뜻이다.  "구미(口味)"가 한자어 그대로 "입맛"을 뜻하므로 "구미(口味)가 당기다"라는 말은 입맛이 당기는 것을 뜻하고, 실제 의미는 "욕심이나 관심이 생기다"를 뜻하게 된 것이다. 영어로는 'It's tempting!'이라고 하는데 'tempt'라는 단어가 "유혹하다", "유도하다", "부추기다", "설득하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기때문이다. 예문을 들어 보면,  Wow! It's really tempting. 와우, 정말 끌리네.  You want some chocolate ice cream? It's temp..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