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밌는영어 #재미있는영어 #이럴땐영어로 #영어숙어 #영어표현 #영어공부 #영어학습 #영어관용표현 #영어관용어 #캐나다알부민 #캐나다산알부민 #싱가폴알부민 #알부민효능 #알부민가격 #알부민주사 #알부민성분 #알부민

"낙태 반대 운동"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낙태 반대 운동"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우선 "낙태"는 영어로 'abortion'인데 "낙태를 반대하다"는 'oppose abortion'이라고 하면 되고, "낙태를 찬성하다"는 찬성한다는 것은 곧 지지한다는 의미이므로 'support abortion'이라고 하면 된다.  그렇다면, "낙태 반대 운동"은 뭐라고 할까? 'pro-life movement'라는 표현을 쓰는데 일전에 "일장일단(一長一短)"이 영어로 'pros and cons'라는 설명을 한 적이 있다. 여기서 'pro'는 "찬성"이나 "장점"의 뜻을 가지고 있고, 'con'은 "반대" 또는 "단점"의 뜻을 가지고 있기때문이다.  'pro-life movement'에서 'pro'의 역할도 "찬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생명.. 더보기
"총기 난사"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총기 난사"를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spree'라는 단어를 잘 알아두면 유용하게 몇 가지 표현을 할 수 있다.  'spree'는 "흥청망청 하기", "흥청거리기", "활발한 활동이나 행동" 등의 뜻이 있지만 "(범행을) 한바탕 저지르기"의 뜻도 있다.  그래서, 'shooting spree'라고 하면 총기를 마구 난사하는 "총기 난사"를 뜻하게 된다.  영어로 다시 풀이 하면, 'the random shooting of multiple people with no obvious motive'가 되는데 "분명한 동기 없이 여러 대중들에게 무작위로 총기를 난사하는 것"을 뜻한다.  정말 있어서는 안될 불행하고도 슬픈 행동이다. 'shooting spree'가 명사형을 쓰이므로 동사형으로 "총기를 난사.. 더보기
"약식 복장으로 출근하는 날" "간편한 복장으로 출근하는 날" "캐주얼 차림으로 출근하는 날" 영어로는 뭐라고 할까?? "약식 복장으로 출근하는 날", "간편한 복장으로 출근하는 날", "캐주얼 차림으로 출근하는 날" 등을 영어로는 뭐라고 할까? 'dress-down day'라는 표현이 있는데 "정장을 잘 차려입다"라는 표현이 'dress up'이니까 'dress-down'은 반대 개념으로 생각하면 된다.  즉, 정장이 아닌 간편 차림, 캐주얼, 약식 복장 등을 뜻한다고 보면 되니까 'dress-down day'는 "약식 복장으로 출근하는 날", "간편한 복장으로 출근하는 날", "캐주얼 차림으로 출근하는 날" 등이 되는 것이다. 예문을 들어 보면,  On my first 'dress down day' I wore tracksuit bottoms and trainers. 나의 첫번째 "드레스 다운 데이"에서 나는 육상경기.. 더보기
"그리운 옛맛" "어머니의 손맛" "소박한 음식" "정겨운 음식"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그리운 옛맛", "어머니의 손맛", "소박한 음식", "정겨운 음식"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comfort food'라는 표현이 있는데 여기서 'comfort'는 "안락", "편안", "위로", "위안" 등의 뜻을 가지고 있지만 'food'와 합해져서 'comfort food'가 되면 "편안한(comfort) 음식(food)", "위안이(comfort) 되는 음식(food)"이라고 직역할 수 있다.  'comfort food'를 먹으면 어머니의 손맛을 느끼게 되어 그리운 옛맛을 생각하게 되고 마음이 편안해 지거나 위안이 되기 때문에 이런 표현이 생겨났다고 볼 수 있다.  'comfort food'로는 한국에서는 된장찌개, 김치찌개, 청국장 등이 되겠지만 서양에서는 마카로니 치즈나 닭고기 스프.. 더보기
"이용가치가 없는 사람(것)"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이용가치가 없는 사람", "이용가치가 없는 것"을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squeezed orange'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과즙을 짜내서(squeezed) 쥬스를 만들고 난 뒤의 오렌지(orange)"니까 더 이상 이용가치가 없는 쭈굴쭈굴한 오렌지를 뜻하는데 실제 의미는 "이용가치가 없는 사람", "이용가치가 없는 것" 등으로 쓰인다.  예문을 들어 보면,  He was fired as he was now a squeezed orange. 그는 이제 이용당할 대로 당한 사람이어서 해고당했다. He has long been a squeezed orange.그는 이용가치가 없어진 지 오래 되었다. The employee has been a squeezed orange. 그 직원은 이용가치가 .. 더보기
"칼자루를 쥐다" "주도권을 잡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칼자루를 쥐다", "주도권을 잡다"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have(get) the whip hand'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채찍의(whip) 손잡이를(hand) 쥐고 있다(have)"가 되지만 실제로는 "상황을 유리하게 장악하고 주도권을 쥐고 있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have the whip hand'가 들어가 있는 문장에서 해석을 할 때는 "칼자루를 쥐다", "주도권을 잡다", "좌지우지 하다", "우위를 점하다" 등으로 해석을 하면 적당할 것 같다. 예문을 들어 보면,  Preparation has the whip hand of success. 준비는 성공을 좌우한다. (=준비는 성공의 칼자루를 쥐고 있다.) More worrying, the unions have th.. 더보기
"돈줄" "자금줄" "경제권" 등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돈줄", "자금줄", "경제권"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purse strings'라는 재미있는 표현이 있는데 'purse'는 "여성용 지갑", "핸드백", "돈주머니" 등의 뜻을 가지고 있고, 'string'는 "끈", "줄", "일련" 등의 뜻이 있기때문에 'purse strings'라고 하면 "핸드백 끈", "핸드백 줄"로 직역이 되지만 실제로는 "돈줄", "자금줄", "경제권" 등의 의미로 사용된다. 참고로 정부가 운영하는 중앙은행에 설치된 정부의 예금계정인 "국고(national treasury, 國庫)"는 'public purse'라고 하는데 직역하면 "공적인(public) 핸드백(purse)", "공공의(public) 핸드백(purse)"이 되므로 유추해 보면 이해가 된다.  예문.. 더보기
"핵심" "요점" "최종결산결과"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핵심", "요점", "결론", "최종결산결과" 등으로 쓰이는 영어표현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bottom line'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일상생활에서 매우 자주 쓰이는 표현이다.  직역하면 "밑바닥(bottom) 선(line)"이 되는데 실제로는 "핵심", "요점", "결론", "최종결산결과" 등으로 쓰이고 있다. 밑바닥(bottom) 선(line)이라는 것은 모든 면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선이라는 의미가 되고, 가장 기초적인 것이 결국은 "핵심", "요점", "결론" 등이 되는 것이다.  다른 해석으로는 재무제표나 회의록 등에서 모든 내용을 적어 내려가다가 제일 밑바닥에 기록되는 값이나 내용이 결론이 되고, 핵심이나 요점이 된다는 의미에서 'bottom line'이라는 표현이 "핵심", "요점", ".. 더보기
"비상금" "저축금"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비상금", "저축금"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 'nest egg'라는 재미있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둥지에(nest) 있는 알(egg)"이지만 실제 사용되는 의미는 "비상금", "저축금"을 뜻한다. 'nest egg'는 일반적인 비상금이나 저축금 중에서도 특히 "특별한 목적으로 모아 둔 자금"을 뜻한다.  즉, 생일날 아내를 위한 멋진 선물을 사기 위해 모아두거나 노후에 세계일주 여행을 하기 위해 모아두거나 자녀들의 등록금을 위해서 모아두는 등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비상금, 저축금"을 뜻한다. 둥지에서 어미의 보호를 받던 알이 나중에 부화되어 멋진 새가 되는 과정과 일정기간 모아 둔 비상금이 특별한 목적으로 멋지게 사용되는 것이 유사하기 때문에 만들어 진 표현인 것 같다.   예문을 들어 .. 더보기
"불가항력" "천재지변"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불가항력"이나 "천재지변"을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act of God'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신의(of God) 행동(act)"이지만 실제로는 "불가항력"이나 "천재지변"을 뜻한다. "불가항력"이나 "천재지변"이라는 것이 우리 인간으로서는 피할 수 없는 "신의(of God) 행동(act)"이기때문이다.  "불가항력"을 뜻하는 다른 표현으로는 'force majeure'가 있는데 이것은 불어에서 온 말로 주로 법률적인 용어로 자주 쓰인다.  "불가항력"이란 지진, 해일, 가뭄이나 홍수, 전쟁 등 피할 수 없는 재난으로 인해 계약의무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 의무의 불이행에 따른 책임을 면하게 해주는 조항이다. 불가항력의 개념은 초기에는 신의 영역이라 생각되어 온 천재지변(Act of God)..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