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아직 미정인" "불확실한" "애매한"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아직 미정인", "불확실한", "애매한" 등을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up in the air'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공중에(in the air) 올라가서 있다(up)"가 되지만 실제로는 "아직 미정인", "불확실한", "애매한" 등의 뜻으로 쓰인다.  즉, 무언가가 공중에 떠 있어서(up in the air)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미정인 상황" 또는 "불확실하거나 애매한 상황"을 묘사하는 표현으로 자주 사용된다.  유사한 표현으로는 'I'm not sure yet!', 'It is uncertain.', 'It is not certain.' 등이 있는데 이러한 표현들은 사람이나 'it'가 주어가 되는 것에 비해 'up in the air'는 상황이나 대상이 주어로 온다는 점을 알.. 더보기
"걸리적거리다" "방해되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걸리적거리다", "방해되다"를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get in the way'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진행하는 방향에(in the way) 끼어들다(get)", "가는 길 안에(in the way) 놓여 있다(get)" 등이 되지만 의역을 하면 "걸리적거리다", "방해되다" 등의 뜻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문을 들어 보면,  Tell him not to get in the way. 그에게 방해하지 말라고 전해라.  Put it away not to get in the way. 그것을 걸리적거리지 않는 곳에 치워라.  Oh, don't mind me, I won't get in the way. 오, 날 신경쓰지 마. 방해하진 않을께.  Her cleverness seems to g.. 더보기
"기겁하다" "흥분하다" "완전 맛이 가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기겁하다", "흥분하다", "완전 맛이 가다", "당황하다", "깜짝 놀라다", "환각 증상을 나타내다", "자제력을 잃다", "지치게 하다"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freak out'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위에서 나열한대로 정말 여러가지의 뜻을 가지고 있고, 드라마나 영화 뿐만아니라 실 생활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므로 알아두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표현임에 틀림없다. 'freak out'의 뉘앙스(nuance)는 "극도로 놀라는 상황", "심하게 화가 나거나 흥분하는 상황", "어떤 대상을 무서워 하거나 환각증상을 보이는 것처럼 자제력을 잃는 상황" 등을 나타낸다.  'freak out'에서 사용된 'freak'라는 단어는 명사, 형용사, 동사로 쓰이는데 특히, 명사로 쓰일 때는 보통.. 더보기
"멍때리다" "멍하다" "정신을 잃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멍때리다", "멍하다", "정신을 잃다", "멍해지다", "의식을 잃다", "잠이 들다"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zone out'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여기서 'zone'은 명사로는 "지역, 구역, 부분"의 뜻이고, 동사로는 "지역을 정하다, 구획짓다"의 뜻을 가지고 있다.  뭔가에 정신이 빠져나가서 멍하니 있는 상황을 보고 한국말로도 "정신이 빠져나갔다"라는 말을 쓰는 경우가 있는데 'zone out'도 정신이 빠져나가서 멍해 있을 때 아무 것도 생각을 하지 않는 것처럼 "어떤 부분이(zone) 빠져나갔다(out)" 고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것 같다.  유사한 표현으로는 'space out'이 있는데 'zone out'과 같은 맥락으로 생각하면 이해가 된다. 즉, "어떤 공간이(space).. 더보기
"핵심을 찌르다" "정곡을 찌르다" "제대로 짚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핵심을 찌르다", "정곡을 찌르다", "제대로 짚다", "정확히 맞는 말을 하다"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hit the nail on the head'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못(nail)의 머리부분을(on the head) 치다(hit)"가 되지만 실제로는 못을 칠 때 못의 머리부분을 정확하게 친다는 의미로 "핵심을 찌르다", "정곡을 찌르다", "제대로 짚다", "정확히 맞는 말을 하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그림을 보면 사람의 머리 위에 못을 박는 장면도 있지만 실제로는 사람의 머리 위에(on the head) 못을 박는다(hit the nail)는 의미가 아니고, 어딘가에 못을 박을 대 못의 머리부분 위에(on the head) 정확하게 친다(hit the nail)는 의미로 .. 더보기
"땡땡이 치다" "수업을 빼먹다"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땡땡이 치다", "수업을 빼먹다"를 영어로는 뭐라고 할까? 'cut class'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수업을(class) 자르다(cut)" 또는 "수업을(class) 중단하다(cut)"가 되지만 실제로는 학교수업이나 강의시간에 밖으로 빠져나와 "땡땡이 치다", "수업을 빼먹다", "강의를 빼먹다" 등의 뜻으로 쓰이는 표현이다.  보통 수업(class)이라는 것은 계속 이어지는데 도중에 중단하고(cut) 빠져나오는 상황이기 때문에 'cut class'라는 표현이 생긴 것이다.  다른 말로는 'bunking'이라는 말도 쓰는데 'bunk'는 원래 "잠자리", "침상", "이층침대" 등의 뜻인데 "허풍", "남의 눈을 속임" 등의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허풍", "남의 눈을 속임" 등에서 유래되어.. 더보기
"뻥치지마" "공갈치지마"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뻥치지마", "공갈치지마"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Don't fib!'라는 표현이 있는데 'fib'라는 단어는 명사로는 "(사소한) 거짓말", 동사로는 "(사소한) 거짓말을 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직역하면 "거짓말을(fib) 하지 마라(don't)"가 된다.  "거짓말을 하다"는 통상 'tell a lie'라는 표현을 쓰는데 'fib'는 사람에게 악의가 없이 하는 거짓말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한다. 그래서, 'Don't fib!'라고 하면 "뻥치지마", "공갈치지마" 등으로 해석하면 적당하다. 예문을 들어 보면,  Don't fib. 뻥치지 마라.  Come on, don’t fib! Where were you really last night? 이봐, 거짓말 하지 마! 당신 간밤.. 더보기
"사생결단으로" "전력을 다하여" "필사적으로"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사생결단으로", "전력을 다하여", "필사적으로", "있는 힘을 다해서"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tooth and nail'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이빨(tooth)과 손톱(nail)"이 되지만 실제로는 "(싸우거나 저항할 때에) 필사적으로, 온 힘을 다하여, 맹렬히" 의 뜻으로 쓰인다.  그 이유는 인간 특히, 여성이 맨 몸으로 싸운다면 날카로운 무기가 될 만한 것이 결국 이빨과 손톱이기 때문이다.  다른 이유로는 'nail'이 "손톱" 외에 "못"이라는 뜻도 있기 때문에 누군가와 싸울 때 "이빨"과 "못"을 사용하여 격렬하게 필사적으로 대응하는 상황으로도 설명이 가능하다. 'tooth and nail'의 표현은 주로 'fight' 또는 'attack'과 같은 동사와 함께 쓰인다... 더보기
"열받다" "격노하다" "몹시 화내다"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열받다", "격노하다", "몹시 화내다"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see red'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빨강색을(red) 보다(see)"가 되지만 실제 사용되는 의미는 "엄청 열받다", "격노하다", "몹시 화를 내다", "화가 나서 울그락 불그락 하다" 등이 된다.  'see red'라는 표현은  투우(鬪牛, corrida de toros)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투우사와 싸울 소에게 빨강색(red) 천을 보여주면(see) 광분하고 격노해서 달려들기 때문에 몹시 화를 내거나 화가 나서 울그락 불그락 하는 상황을 'see red'라고 표현했던 것이다. 영어로 뜻풀이를 하면, 'suddenly become very angry'가 되는데 이는 "갑자기 매우 화를 내다"의 의미를 가진다. .. 더보기
"피장파장" "피차일반" "쌤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피장파장", "피차일반", "쌤쌤"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We're even.'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even'은 부사 또는 형용사로 자주 쓰이는 단어인데 그 뜻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부사]1. ~도 (조차) 2. (비교급을 강조하여) 훨씬 3. 더 정확히 말하면, (심지어) ~하기까지 하게  [형용사] 1. 평평한, 반반한 2. (변화가 많지 않고) 고른[일정한] 3. (무엇의 양・득점 등이) 균등한, 동일한 4. (두 사람・팀이) 대등한 5. 짝수의 6. (간격・크기가) 고른  그래서, 'We're even.'을 직역하면 "우리는(we're) 동등하다(even)"가 되는데 이를 의역하면 "피장파장", "피차일반", "쌤쌤" 등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다른 표현으로는 'both of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