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실망시키다" "기대를 저버리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실망"이라는 말을 떠올리면 금방 떠오르는 단어가 'disappoint'다. 'disappoint'는 "실망시키다", "실망을 안겨 주다", "(바라던 일을) 좌절시키다" 등의 뜻을 가진다. 'let someone down'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실망시키다", "기대를 저버리다"는 뜻으로 꽤 자주 사용하는 말이다.  직역하면, "누군가로 하여금(someone) 아래로 내려가게(down) 하다(let)"지만 "실망시키다", "기대를 저버리다" 등으로 해석을 하는 아주 좋은 표현이다. 예문을 들어 보면,  Don't let me down. 저를 실망시키지 마세요.  Don't let me down again. I want you to do a better job. 나를 다시 실망시키지 마라. 난 네가 좀 더.. 더보기
"안목(眼目)이 있다" "안목(眼目)이 깊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안목(眼目)"을 국어사전에서 찾아 보면 "사물을 보고 분별하는 견식"이라고 되어 있는데 한자어 "안목(眼目)"에서 '眼'은 "눈 안", '目'도 "눈 목"이다.  한국말로 어떤 대상에 대해서 감각이 좋거나 보는 눈이 남 다를 때 "안목(眼目)이 있다" "안목(眼目)이 깊다", ""안목(眼目)이 높다" 등으로 표현하듯이 영어에서도 'eye'를 이용한 좋은 표현이 있다. 'have an eye for something'인데 직역하면, "어떤 것에 대해서(for something) 눈을 가지고 있다(have an eye)"가 되지만 실제로는 "안목(眼目)이 있다" "안목(眼目)이 깊다", ""안목(眼目)이 높다" 등으로 해석하면 제격이다. 예문을 들어 보면,  You have an eye for fashio.. 더보기
"믿다" "확신하다" "의존하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믿다", "확신하다", "의존하다", "기대하다"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영어를 처음 배우기 시작할 때부터 많이 듣던 단어 'believe', 'trust' 등이 있지만 오늘은 'count on'이라는 표현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선 'believe'라는 단어는 "믿다", "여기다"의 뜻인데 누구의 말을 믿거나 종교를 믿는다고 할 때 주로 쓰이고, 'trust'는 "신뢰하다", "신임하다", "믿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으면서 어느 정도 격식있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count on'에서 'count'는 "(수를) 세다", "계산하다", "계산에 넣다", "포함시키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전치사 'on'이 뒤에 붙어서 'count on'이 되면, "믿다", "확신하다", "의존하다",.. 더보기
"한번 해봐" "한번 부딪쳐 봐" "일단 질러" 등 영어로는 뭐라고 할까?? "한번 해봐", "한번 시도해 봐", "계속해 봐", "한번 부딪쳐 봐", "질러버려", "일단 질러", "자! 해봐!", "어서!", "힘내!"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go for it'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그것을(it) 향해(for) 가다(go)"이지만 실제로는 "한번 해봐", "한번 시도해 봐", "계속해 봐", "한번 부딪쳐 봐", "질러버려", "일단 질러", "자! 해봐!", "어서!", "힘내!"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영화나 드라마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이다.  'go for it'의 사전적인 의미는 "단호히 목적을 추구하다", "사생결단으로 덤비다" 등으로 설명되어 있는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을 기울이다"라는 뜻으로, 머뭇거리거나 결정을 못 내리는.. 더보기
"빈털터리야" "파산이야" "개털이야"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나 빈털터리야", "나 파산했어", "나 개털이야", "나 거지야", "나 땡전한푼 없어"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I'm broke.'라고 하면 된다.  직역하면, "나는 깨졌어"가 되지만 실제로는 "나 빈털터리야", "나 파산했어", "나 개털이야", "나 거지야", "나 땡전한푼 없어" 등의 뜻으로 쓰인다.  예문을 들어 보면,  I'm broke today.나 오늘 개털이야. (나 오늘 파산이야.) I am broke after giving the wedding reception. 결혼식 피로연 하고나서 나는 뽕빠졌어.  I am broke. 나는 완전 파산이야. (나 거지야.)  I am quite eager to go on a trip, but I am broke. 여행 가고 싶은 .. 더보기
"이제야 말이 좀 통하는군!"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이제야 말이 좀 통하는군!", "바로 그거야!", "그래, 좋은 아이디어야!" 등 상대가 자기마음에 들거나 자기 생각과 동일한 내용의 말을 했을 때 찬의와 동감의 뜻으로 할 수 있는 영어표현은 어떤 게 있을까? 'Now you're talking.'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이제야 너 말을 하는구나."가 되지만 실제로는 "이제야 말이 좀 통하는구나.", "바로 그거야!", "그래, 좋은 아이디어야!" 등의 뜻으로 상대방의 제안이나 말이 아주 마음에 들 때 쓰인다. 'It's a good idea!'와 유사한 표현이지만 때로는 미묘한 어감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Now you're talking.'이라는 표현은 실제 미국이나 캐나다 등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나라에서 자주 쓰이는 말이고, .. 더보기
"빈털터리" "노숙자 신세"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서울역 주변에는 노숙자들이 꽤 많은 것 같다.  선진국으로 갈수록 거지나 노숙자가 많아진다고 하는데 과연 대한민국이 선진국으로 가는 과정일까?  선진국은 나라만 부강하다고 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국민들의 생각과 문화, 질서의식, 교육 등 사회 전반에 걸친 인프라가 다른 나라의 모범이 되어야 선진국이 될 수 있지 않을까? "빈털터리", "노숙자 신세", "몹시 궁한 상황", "가난한 부랑자", "무일푼의 신세" 등을 표현하는 영어는 어떤 것이 있을까?  'down and out'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아래로(down) 그리고(and) 밖으로(out)"가 되지만 실제 쓰이고 있는 의미는 바닥으로 내려갈만큼 내려가서 집 밖으로 나가서 살아야 하는 상황을 뜻한다고 보면 된다.  즉, 'down .. 더보기
"미치게 만들다" "짜증나게 만들다" "화나게 만들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미치게 만들다", "짜증나게 만들다", "화나게 만들다"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당연히 'make someone angry', 'make someone irritate', 'make someone annoy' 등 쉬우면서도 정석적인 표현들도 있다.  하지만, 한국말도 점점 재미있는 말들을 만들어서 많이 사용하듯이 영어에서도 재미있는 표현들이 많으므로 가끔 이러한 관용표현들을 섞어서 회화에 사용하면 좀 더 유연한 대화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drive someone up the wall'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누군가를(someone) 벽 위로(up the wall) 몰다(drive)"가 되지만 실제의 의미는 "미치게 만들다", "짜증나게 만들다", "화나게 만들다" 등으로 쓰이.. 더보기
"녹초가 되다" "파김치가 되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녹초가 되다", "파김치가 되다"라는 말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너무 피곤하고 지쳐서 더 이상 뭔가를 할 수 없을 때 "녹초가 됐다", "파김치가 됐다"라는 말을 쓰는데 영어 표현에는 아래와 같이 여러가지 표현들이 있다.  - be exhausted - be dead tired - be dead - be dead on my feet- be burned out- be worn out- be wiped out - be out of gas- be dog-tired  이상과 같이 9개 정도의 표현이 있는데 그 중에 대부분이 수동태로 쓰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표현에 대해서 중요한 핵심 포인트만 설명해 보면 아래와 같다. - be exhausted 'exhaust'는 "소진시키다", "다 .. 더보기
"모욕당하다" "굴욕당하다" "망신당하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모욕당하다", "굴욕당하다", "망신당하다"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be humiliated'라는 표현이 있는데 "굴욕감을 주다"라는 뜻을 가진 'humiliate'의 수동태 형태다.  유사한 표현으로는 'be disgraced'가 있는데 이 역시 "(체면에) 먹칠하다", "망신당하다" 등의 뜻을 가진 'disgrace'의 수동태 형태다. 'grace'라는 단어가 "우아함", "품의", "예의" 등의 뜻이 있는데 앞에 부정 접두사 'dis'가 붙어서 'disgrace'가 된 것이다.  'disgrace'는 명사로는 "망신", "수치", "불명예" 등의 뜻이 있고, 동사로는 "(체면에) 먹칠하다", "망신당하다" 등의 뜻으로 쓰이는데 한편으로 "(정치에서) 실각하다"라는 뜻으로도 종종 쓰인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