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밌는 영어

"(비위생적인) 싸구려 식당" "허름한 식당"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비위생적인) 싸구려 식당", "허름한 식당" 등을 영어로는 뭐라고 할까? 식당이니까 어떻게든 'restaurant'라는 단어가 들어가겠지?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greasy spoon'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기름기 있는(greasy) 스푼(spoon)"이지만 실제의 뜻은 "(비위생적인) 싸구려 식당" 또는 "(그다지 깨끗하지 않은) 조그맣게 운영되는 간이식당"을 말한다. 설거지를 할 때 대충 대충 하기때문에 스푼(spoon)에 기름기가 그대로 묻어있거나(greasy) 식기들이 미끈미끈해서(greasy) 그렇게 만들어진 표현이다. 그런 식당이라고 해서 맛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greasy spoon' 중에서 맛이 기가막히는 식당들도 꽤 있다. 하지만, 위생적.. 더보기
"수포로 돌아가다" "도로아미타불"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수포(水泡)"라는 말은 水(물 수)와 泡(거품 포)가 합해진 말로서 "물거품"을 뜻하고, 물거품은 그 모양 그대로 계속 유지할 수가 없기때문에 "수포로 돌아가다"라는 말은 공들인 일이 헛되이 되거나 그간의 노력이 모두 허사가 되었다는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표현이다.  그러면,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go down the drain'이라는 표현이 있다.  직역하면, "배수관(drain) 아래로 내려가다(go down)"가 되는데 이 말은 흐르는 물이나 어떤 물건이 배수관 아래로 흘러가면 다시는 돌아올 수 없는 상황이 됨을 뜻한다.  즉, 모든 것이 "물거품으로 되어버리다", "수포로 돌아가다" 등의 뜻으로 쓰이게 된 것이다.  예문을 들어보면,  I just hate to see all that.. 더보기
"결국" "결과적으로"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결국", "결과적으로", "궁극적으로", "장기적으로"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학교 다닐 때 무조건 외웠던 숙어가 생각난다. 'in the long run'이 바로 그것이다.  얼마나 열심히 외웠던지 'in the long run', "결국", 'eventually'...이 세가지의 영어와 한글의 말들이 아직도 입에서 저절로 튀어나온다. 단순주입식 교육의 강점이기도 하다. 지금에 와서 생각해 보면, 그렇게 외우지 않고 이해를 했으면 더욱 쉽게 내 것이 되었을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지만 이렇게 이해를 하고 외웠으면 지금의 나이에 입에서 자동으로 튀어나올 수 있을까? 'in the long run'을 영어로 다시 풀어쓰면, 'eventually', 'ultimately', 'in the end.. 더보기
"선견지명 (先見之明)"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선견지명(先見之明)"이라 함은 앞을 내다보는 안목(眼目)이라는 뜻으로 장래(將來)를 미리 예측(豫測)하는 날카로운 견식(見識)을 두고 이르는 말이다. "선견지명(先見之明)"을 영어로는 뭐라고 할까? 'have a long head' 또는 'be long-headed'라는 표현이 있다.  직역하면, "긴 머리를 가지고 있다", "긴 머리가 되다"로 해석이 되지만 머리(head)가 길다(long)는 얘기는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뇌가 큰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have a long head' 또는 'be long-headed'라는 표현은 "선견지명이 있는", "상황판단이 빠른", "(판단이) 재빠른", "분별력이 있는" 등의 뜻이 된다.  명사로 "선견지명"이라고만 표현하고자 할 때는 hav.. 더보기
"요점" "요지" "요약" "핵심"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요점", "요지", "요약", "핵심" 등을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the long and short of it'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모두 쉬운 단어들로 구성이 되어 있고, 얼핏 생각해 보면 "길게 설명할 건 길게 설명하고, 짧게 설명할 건 짧게 설명하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조금 자세하게 그리고 길게 설명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은 길게 설명하고, 아주 간단하게 짧게 설명할 건 짧게 설명해야 "요점", "요지", "요약", "핵심" 등이 나온다고 본 것 같다. 또는 'the long and short of it'를 다른 측면에서 살펴보면, "길고 짧은 것"인데 그렇다는 얘기는 결국 "전부"를 뜻한다. 즉, "요점", "요지", "요약", "핵심" 등을 보면 "전부"를 이해할 수 있기때문.. 더보기
"행간을 읽다" "속뜻을 알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행간(行間)"이라는 말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국어사전에는 "쓰거나 인쇄한 글의 줄과 줄 사이 또는 행과 행 사이"로 되어 있고, 영어사전에는 "space between the lines"이라고 되어 있다.  "행간을 읽다", "속뜻을 알다"를 영어로는 'read between the lines'이라고 한다. 그런데 "행간(行間)을 읽다"라고 하면, 행과 행 사이를 읽는 것이 아니고, "글의 숨은 뜻을 알아내는 것 또는 글의 속뜻을 아는 것"이다. 영어로 설명하자면, 'understand more than the words appear to mean'이 된다.  예문을 들어보면, I think you are just failing to read between the lines. 행간을 읽지 못하셨던 것 .. 더보기
"죽자사자" "전력을 다해"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죽자사자", "전력을 다해", "전적으로", "완전히"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flat out'라는 표현이 있는데 매우 간단한 두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flat'은 "편평한, 납작한, 평탄한"이란 뜻인데 'flat out'이 어떻게 "죽자사자", "전력을 다해", "전적으로", "완전히" 등의 뜻으로 쓰이게 된 것일까? 'flat out'이라는 표현은 원래 자동차 경주에서 온 말인데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를 발이 바닥에 평평하게(flat) 닿을 정도로 밟아댄다면(out), 그것이 바로 최고 속도를 의미하고, 거기에서 유래되어 "전력을 다해", "죽자사자", "전적으로", "완전히" 등의 의미로 사용되게 된 것이다. 'flat-out lie'라는 재미있는 표현도 있다. 이는 .. 더보기
"아재개그"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가끔 예능 프로그램이나 쇼 프로그램 등에서 말하는 "아재개그"는 말은 영어로 뭐라고 표현할까? "아재개그"는 알다시피 "아저씨 개그"의 속어인데 통칭 아저씨들이나 하는 시대에 뒤떨어진 진부한 농담을 뜻한다. "아재개그"는 영어로는 'Dad joke'라고 한다.  즉, 아빠(Dad)도 통칭 그러한 아저씨들 중의 한사람이기 때문이다.  예문을 들어보면, You know. dad jokes are not really funny.알잖아. 아재 개그는 진짜 재미없어. You tell super corny dad jokes.너 진짜로 형편 없는 아재 개그를 이야기하는구나. * corny : 진부한, 진짜 형편없는   #재밌는영어 #재미있는영어 #이럴땐영어로 #영어숙어 #영어표현 #영어공부 #영어학습 #영어관용표현 .. 더보기
"(농담, 유머 등이) 실패하다" "호응을 얻지 못하다" 영어로는 뭐라고 할까?? 농담이나 조크(jokes) 또는 유머(humor)을 말했는데 상대방이 전혀 웃지도 않고, 호응을 얻지 못한 경우 즉, 농담이 실패한 경우 한국말로는 "에이~ 썰렁하게 왜 그래?", "썰렁하구만~" 또는 요즘에는 "아재 개그하고 있네~!" 등의 표현을 쓰곤 한다. 영어에서는 뭐라고 표현할까? 'fall flat'이라는 표현이 있다. 'fall'은 "떨어지다", "넘어지다"이고, 'flat'은 "평평한", "납작한인데 이 쉬운 두개의 단어가 합해져서 'fall flat'이 되면, "(농담이나 조크, 유머 등이) 실패하다", "호응을 얻지 못하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설명은 간단하다.  'fall flat'을 직역하면, "납작하게 떨어지다", "평평하게 넘어지다" 정도로 해석이 되지만 속어로 표현하자면, 그림.. 더보기
"배반" "배신"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배반"하거나 "배신"하는 행위를 표현하고자 할 때 보통은 'betray'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 재미있는 표현으로는 'double cross'가 있다. 'double-cross' 또는 'double cross'라고 쓰는데 동사나 명사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cross'라는 단어는 "X 표", "+ 기호", "십자", "십자가" 등의 뜻이 있는데 어떻게 'double cross'라는 표현이 "배반", "배신"의 의미로 사용되게 된 것일까? 앞에서는 악수를 하면서 등 뒤에는 칼을 들고 있는 모습처럼 이중적인 배반행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 'cross'라는 단어는 "X 표", "+ 기호", "십자", "십자가" 등의 명사 외에 동사로 쓰이게 되면, "교차하다", "겹치다", "반대하다" 등의 뜻도 있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