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쫄지마" "겁쟁이처럼 굴지마"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쫄지마", "겁먹지 마", "바보처럼 굴지마", "겁쟁이처럼 굴지마" 등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오늘 배울 표현도 아주 쉬우면서 재미있는 표현이다. 'Don't be (a) chicken.'이라고 하면 "치킨이 되지마", "닭이 되지마"라고 직역이 되는데 닭이 겁이 많은 동물이기 때문에 겁이 많은 사람을 'chicken'이라고 부른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즉, 'Don't be (a) chicken.'이라고 하면 "쫄지마", "겁먹지 마", "바보처럼 굴지마", "겁쟁이처럼 굴지마" 등으로 해석하면 된다. 예문을 들어보면, Don't be a chicken. 쫄지마. (=겁먹지 마) Don't be a chicken, Max. 겁쟁이처럼 굴지마, 맥스. Don't be such a chi..
더보기
"괴짜" "별종"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평범하지 않은 "괴짜", "별종"을 뜻하는 영어표현은 뭘까? 'oddball'이라는 단어가 있는데 'odd'와 'ball'이 합해져서 만들어 진 단어다. 'odd'는 "이상한, 특이한", "가끔의, 이따금의", "짝이 없는, 외톨이의", "홀수의" 등의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이고, 'ball'은 알다시피 "공", "공 모양의 물체", "덩이, 뭉치"라는 뜻인데 두 단어가 합해져서 "괴짜", "별종"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공이 어디로 튈 지 모르니까 "어디로 튈 지 모르는 이상한 공"이 곧 "괴짜", "별종"의 의미로 사용되었다고 생각하면 기억이 쉬울 것 같다. 예문을 들어보면, I don't want to be the only oddball.나 혼자 별종이 되기 싫어. My younger..
더보기
"부전자전(父傳子傳)" "모전여전(母傳女傳)"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부전자전(父傳子傳)"이란 "아버지의 성품이나 행동, 습관 등을 아들이 그대로 전해 받는 모습"을 가리킨다. "모전여전(母傳女傳)"은 당연히 "어머니의 성품이나 행동, 습관 등을 딸이 그대로 전해 받는 모습"을 일컫는 말이라고 보면 된다. 그런데, 이러한 말들이 일반 생활 속에서 부모와 자식간에 닮았다는 단순한 표현을 할 때도 쓰이지만 약간 비아냥거릴 때 쓰이기도 한다는 점을 알아 둘 필요도 있다. 그렇다면, "부전자전(父傳子傳)", "모전여전(母傳女傳)"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이 표현은 매우 쉽다. 'Like father, like son.', 'Like mother, like daughter.'이라고 하면 된다. 즉, 직역하면 "아버지처럼, 아들처럼", "어머니처럼, 딸처럼"이 되는데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