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밌는 영어

"쉬쉬하는" "조용조용" "비밀"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쉬쉬하는", "조용조용", "비밀", "극비" 등을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2016.09.27 "Repetition-같은 단어나 유사 단어의 반복으로 만든 표현들(1)"이라는 제목으로 포스팅 한 내용이 있는데 그 중에 'hush-hush(허쉬-허쉬)'라는 표현이 바로 "쉬쉬하는", "조용조용", "비밀", "극비"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 'hush-hush(허쉬-허쉬)'의 발음을 조금만 빨리 해 보면 마치 우리말 중에 조용히 하자고 할 때 말하는 "쉬쉬"와 비슷하게 들리기도 한다.  원래 'hush'는 "조용하게 하다, 달래다, 억누르다, 침묵, 조용함" 등의 뜻이 있는데 'hush'를 연속 두번 사용하여 'hush-hush(허쉬-허쉬)'라고 하면 'secret' 즉, "비밀, 극비"라는 뜻이 되.. 더보기
"달팽이 걸음으로" "매우 천천히" "느릿느릿"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일전에도 몇번 언급했던 부분인데 오늘 새삼 다시 느낀 것은 이 세상 사람들의 언어는 전부 달라도 사람들의 생각은 다 똑 같다는 것이다. 달팽이를 상상해 보자.달팽이를 상상하면서빠르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한 명도 없을 것이다. 달팽이는 매우 천천히 움직인다. 거의 움직임이 없는 듯 움직인다. 'at a snail's pace'라는 재밌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달팽이의 걸음으로", "달팽이의 속도로", "달팽이의 보폭으로"가 된다.  이 말은 결국 "매우 천천히", "느릿느릿"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쉬운 영어로는 'very slowly'가 된다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다. at은 중학교때 맹목적으로 암기했던 '속도'의 전치사, snail은 "달팽이", pace는 "속도, 보폭, 보조, 진도" 등의 뜻이 .. 더보기
"뒤죽박죽" "엉망진창"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뒤죽박죽", "엉망진창", "뒤범벅"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작년에 "Repetition-같은 단어나 유사 단어의 반복으로 만든 표현들"이라는 제목으로 포스팅 했었던 내용 중에 간단하게 소개되었던 표현인데 'topsy-turvy'라는 표현이 있다.  'topsy-turvy(탑시-터비)'에서 top은 "위, 꼭대기"를 뜻하고, turve는 "뒤집다"의 뜻을 가진 고어(古語)다.  그래서, 'topsy-turvy(탑시-터비)'라고 하면 "쓰레기통의 위를 아래로 뒤집다"를 연상하면 된다.  적절한 우리말로는 "뒤죽박죽", "엉망진창"이라고 하면 될 것 같다.  영어로 설명하면, not organized(정리되지 못한), messy(지저분한), be messed up(뒤죽박죽되다), be mixed u.. 더보기
"양의 탈을 쓴 늑대"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우리 말에 '양의 탈을 쓴 늑대'라는 표현이 있다. 물론 영어에도 비슷한 말이 있는데, 'a wolf in sheep's clothing' 이 바로 그것이다. 즉, 직역하면 '양의 옷을 입은 늑대'인 것이다. 그림에서와 같이 늑대가 양의 가죽(옷)을 뒤집어 쓴 상황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친구 같지만 실제로는 적인 사람'을 뜻하는 표현이다. 즉, 'a person who seems a friend but is really an enemy' 로 영어로 풀어쓸 수 있다. 예문을 들어보면, He is a wolf in sheep's clothing. 그는 양의 탈을 쓴 늑대다  In a way, it's like a wolf in sheep's clothing. 어떤 면에서는, 그 사람은 양의 탈을 쓴 늑대.. 더보기
"오월동주(吳越同舟)" "같은 운명에 처해 있다" 영어로는?? "오월동주(吳越同舟)"란 중국의 손무(孫武)가 쓴 「손자병법(孫子兵法)」에 나오는 고사성어인데 "오(吳)나라 사람과 월(越)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탔다"는 뜻으로, 적대 관계에 있는 사람끼리 이해관계 때문에 뭉치는 경우를 비유한 말이다.  * 吳 : 나라이름 오, 越 : 나라이름 월, 同 : 한가지 동, 舟 : 배 주  영어관용어 중에 'in the same boat'라는 표현이 있는데 엄밀히 말하면 "오월동주(吳越同舟)"의 의미와 정학하게 일치하지는 않지만 어감은 거의 유사하다.  즉, 'in the same boat'는 "같은 배에 타고 있다"고 직역이 되고, 사용되는 의미는 "같은 운명에 처해 있다", "같은 처지에 놓여 있다", "운명을 같이 하다", "같은 상황에 놓여 있다", "같은 문제를 안.. 더보기
"곯아떨어지다" "정신없이 자다" "푹 자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곯아떨어지다", "정신없이 자다", "푹 자다", "죽은 듯이 자다", "숙면하다", "곤히 자다", "세상 모르고 자다" 등은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 'sleep like a dog' 또는 'sleep like a log'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마지막 단어가 각각 'dog'와 'log'인데 두 단어가 완전 다른 단어이지만 어감이 비슷해서 같이 기억해 두면 좋을 것 같다.  'dog'는 설명이 필요없는 단어이고, 'log'는 "통나무"라는 뜻인데 "통나무집"을 영어로 'log house' 또는 'log cabin'이라고 부르는 것도 함께 기억해 두면 좋을 것 같다.  'log'는 "통나무"라는 뜻 외에 "항해, 운항, 비행 등의 내용을 기록하는 일지"라는 뜻도 있으니 참고로 기억해 두자. 그러면, 왜 .. 더보기
"아무것도 기억이 안나"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아무 것도 기억이 안나", "아무 것도 기억할 수가 없어"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단순하게 'I can't remember anything.'이라고 하면 쉽게 이해하고, 말하기도 쉽지만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렇게 단순하게만 말하지 않는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한국사람들도 관용어, 속어, 축약어 등등 언어를 점점 다양하게 구사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는데 영어도 마찬가지라고 보면 된다. 오늘 배울 영어표현은 'draw a blank'라는 표현이다.  쉬운 단어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직역은 금방 가능하다.  즉, "빈 공간을 그리다", "공란을 그리다", "여백을 그리다"가 되는데 이 표현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학창시절 때 시험시간으로 돌아가 보자.  시험 시간에 아무리 생각해도 답.. 더보기
전치사 over의 쓰임, oversleep vs sleepover 비교 [over의 쓰임]이렇게 생각하고 이해하면 영어가 쉬워지는데 그림을 보면서 생각해 보면 더욱 쉬워진다. 동사의 앞에 over가 붙어서 만들어진 단어 몇개를 더 살펴보면, eat(먹다)라는 동사의 앞에 붙어서 overeat라고 하면 지나치게 먹는 것이니까 "과식"이 되고, drink(마시다)라는 동사의 앞에 붙어서overdrink라고 하면 지나치게 마시는 것이니까 "과음"이 되고, speed(속도를 내다)의 앞에 붙어서 overspeed라고 하면 지나치게 속도를 내는 것이니까 "과속"이 되고, flow(흐르다)의 앞에 붙어서 overflow라고 하면 지나치게 흘러서 넘치는 것이니까 "범람", "넘치다" 등의 뜻이 된다. 그림을 보면 더욱 이해하기가 쉽다. 또 재미있지만 한국사람들에게는 잘못 사용되어지고 있.. 더보기
"원수를 갚을거야" "되돌려 줄거야"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원수를 갚을거야", "앙갚음을 할거야", "복수할거야", "되돌려 줄거야" 등등의 표현을 영어로는 어떻게 할까? 영화 장면에서 자주 듣는 표현이기도 한데 'I'll get you back.' 또는 뒤에 'someday'를 붙여서 'I'll get you back someday.'라고 하면 된다.  물론 단순하게 "돌려주겠다"는 의미로 사용될 때가 있으므로 앞뒤 문장이나 전체적인 문맥에 따라 어떻게 해석할 지를 결정하면 된다. 'I'll get you back.' 구문은 한국식으로 생각해도 금방 이해가 간다.  한국말로도 앙갚음이나 복수를 할 때 "되돌려 주고 말거야"라는 말을 하니까 같은 의미로 보면 이해가 쉽다. 영어사전에서의 해석을 보면, 'to do something unpleasant to so.. 더보기
"원래 그런 사람이야" "그 사람다운 짓이야" 영어로는 뭐라고 할까?? 한국말로 "원래 그런 사람이야", "그 사람다운 짓이야", "그 사람 원래 그런 식이야" 등의 표현을 할 때가 종종 있는데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It's just like him.' 또는 'It's his way.'라는 표현을 쓰면 된다.  물론 'him' 대신에 'her'나 'them' 등 다른 대명사를 써도 된다. 예문을 들어보면,That's just like him.원래 그런 사람이야. It's just like her.그 여자 원래 그래. But it doesn't matter, because it's just like her! 하지만 그건 상관없어, 왜냐하면 그녀다운 짓이니까! It's his way of showing he loves me. 그가 나를 사랑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그만의 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