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밌는 영어

"가망 없어" "가능성이 희박해"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가망이 거의 없다", "가능성이 희박하다", "가능성이 낮다"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chances are slim'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기회/가능성(chances)이 희박하다(slim)"가 된다.  여기서 'chances'는 "기회"라는 의미보다는 'possibility' 또는 'odds'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어 "가능성"이라는 뜻으로 쓰였고, 'slim'은 "날씬한", "호리호리한", "얇은" 등의 뜻도 있지만 여기서는 "빈약한", "희박한"의 뜻으로 쓰였다고 보면 된다. 그래서 'chances are slim'이라고 하면 "가능성이 희박해", "가능성이 거의 없어", "가망이 거의 없어" 등의 의미로 해석이 된다.  반대로 가능성이 있어 보일 때는 'chances are g.. 더보기
"숨이 멎을 것 같은" "숨이 턱 막히는" "기가 막히는"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숨이 멎을 것 같은", "숨이 턱 막히는", "기가 막히는" 등을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 'breathtaking'과 'take one's breath away'라는 표현이 있는데 둘 다 의미는 같지만 문법상 'breathtaking'은 형용사형으로 쓰이고, 'take one's breath away'는 하나의 구문이다. 직역해 보면, 'breathtaking'은 "숨을(breath) 가져가 버리는(taking)"이 되므로 "숨이 멎을 것 같은", "숨이 턱 막히는", "기가 막히는" 등의 의미로 쓰이고, 'take one's breath away'는 "누구누구의(one's) 숨을(breath) 빼앗아 가다(take away)"가 되므로 "숨을 멎게 하다", "숨이 턱 막히게 하다", "숨이 멎을 .. 더보기
"그 남자 왜 그래?" "저 사람 왜 저래?"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그 남자 왜 그래?", "저 사람 왜 저래?", "웬일이래?"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what's with someone' 또는 'what's with something'이라는 표현이 있다.  즉, 사람과 사물에 모두 쓸 수 있는 표현인데 'what's up with someone/something' 또는 'what's wrong with someone/something'과 유사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주로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는데 "무슨 기분 나쁜 일이 있었나?", "도대체 왜 저러지?", "왜 그래?", "무슨 일이야?" 등의 어감으로 쓰인다고 보면 된다.  즉, 평소와는 다른 의외의 모습을 보일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다. 그리고, 전혀 기대하지 않던 물건을 보았을 때도 이 표현을.. 더보기
"터 놓고 얘기합시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터 놓고 얘기합시다", "마음을 열고 솔직하게 얘기합시다", "진지하게 얘기해 봅시다"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Let's have a heart to heart talk'라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하면, "가슴에서 가슴으로 (heart to heart) 대화를(talk) 가져 봅시다(let's have)"가 되니까 "터 놓고 얘기합시다", "마음을 열고 솔직하게 얘기합시다", "진지하게 얘기해 봅시다" 등의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Let's have a heart to heart talk'에서 마지막에 있는 'talk'를 생략하더라도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즉, 'Let's have a heart to heart'라고 써도 "터 놓고 얘기합시다", "마음을 열고 솔직하게 .. 더보기
"내 말 좀 끝까지 들어봐"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친구나 다른 사람과 대화를 하던 중에 중간에서 말을 뚝뚝 잘라 방해를 당할 때, 상대방이 뭔가 단단히 오해를 하고 있을 때, 내가 무슨 얘기를 진지하게 계속 이끌어 나가고자 할 때 "내 말 좀 끝가지 들어봐"라는 말을 할 수 있는데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hear me out'이라는 표현이 있다.  'hear'는 "듣다", "경청하다"라는 뜻이지만 'out'을 붙여서 'hear ~ out'이 되면 "~의 얘기를 끝까지/아웃될 때까지(out) 듣다(hear)"의 의미가 된다.  영어에 있어서 어떤 단어에 'out'이라는 말이 붙게 되면 끝까지 마무리 한다는 의미가 첨가된다.  예를 들면, 'pay out'이라는 표현은 돈을 지불할 때 남김 없이 끝까지 완전하게 지불한다는 의미가 되는데 'hear me.. 더보기
"주제에서 벗어나지 마세요", "옆길로 새지 마세요", "주제에 충실(집중)하세요"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주제에서 벗어나지 마세요", "옆길로 새지 마세요", "주제에 충실(집중)하세요"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대화를 하거나 강의 또는 무슨 발표를 할 때 주제에서 벗어나서 옆길로 빠지는 경우가 종종 있을 수 있는데 이 때 요긴하게 쓸 수 있는 표현이 바로 'stick to the topic'이다. 'stick to the topic'을 직역하면, "주제에(to the topic) 달라붙어 있어라(stick)"인데 얘기 도중에 잘 나가다가 삼천포로 빠질 때 "주제에서 벗어나지 마세요", "옆길로 새지 마세요", "주제에 충실(집중)하세요" 등의 의미로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다. 예문을 들어 보면,  Let's stick to the topic. We're here to discuss the new .. 더보기
"할 말을 잃다" "말문이 막히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할 말을 잃다", "말문이 막히다"를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tongue-tied'라는 재미있는 표현이 있는데 직역해 보면, "혀가(tongue) 묶여져 있는(tied)"이 된다.  아래 그림과 같이 혀가 묶여져 있으면 말을 하고 싶어도 잘 되지 않는다.  그래서 'tongue-tied'라는 표현은 "(긴장해서) 말이 잘 안 나오는", "할 말을 잃은", "말문이 막히는" 등의 뜻으로 쓰이게 된 것이다. 예문을 들어 보면,  Without a teleprompter, he becomes tongue tied. 텔레프롬프터가 없어 그는 말문이 막혔다. * teleprompter : 방송국 등에서 출연자에게 대사를 보여주는 장치 What keeps your tongue tied? 왜 아무말도 하지 않.. 더보기
"실망시키다" "기대를 저버리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실망"이라는 말을 떠올리면 금방 떠오르는 단어가 'disappoint'다. 'disappoint'는 "실망시키다", "실망을 안겨 주다", "(바라던 일을) 좌절시키다" 등의 뜻을 가진다. 'let someone down'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실망시키다", "기대를 저버리다"는 뜻으로 꽤 자주 사용하는 말이다.  직역하면, "누군가로 하여금(someone) 아래로 내려가게(down) 하다(let)"지만 "실망시키다", "기대를 저버리다" 등으로 해석을 하는 아주 좋은 표현이다. 예문을 들어 보면,  Don't let me down. 저를 실망시키지 마세요.  Don't let me down again. I want you to do a better job. 나를 다시 실망시키지 마라. 난 네가 좀 더.. 더보기
"안목(眼目)이 있다" "안목(眼目)이 깊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안목(眼目)"을 국어사전에서 찾아 보면 "사물을 보고 분별하는 견식"이라고 되어 있는데 한자어 "안목(眼目)"에서 '眼'은 "눈 안", '目'도 "눈 목"이다.  한국말로 어떤 대상에 대해서 감각이 좋거나 보는 눈이 남 다를 때 "안목(眼目)이 있다" "안목(眼目)이 깊다", ""안목(眼目)이 높다" 등으로 표현하듯이 영어에서도 'eye'를 이용한 좋은 표현이 있다. 'have an eye for something'인데 직역하면, "어떤 것에 대해서(for something) 눈을 가지고 있다(have an eye)"가 되지만 실제로는 "안목(眼目)이 있다" "안목(眼目)이 깊다", ""안목(眼目)이 높다" 등으로 해석하면 제격이다. 예문을 들어 보면,  You have an eye for fashio.. 더보기
"믿다" "확신하다" "의존하다"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믿다", "확신하다", "의존하다", "기대하다"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영어를 처음 배우기 시작할 때부터 많이 듣던 단어 'believe', 'trust' 등이 있지만 오늘은 'count on'이라는 표현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선 'believe'라는 단어는 "믿다", "여기다"의 뜻인데 누구의 말을 믿거나 종교를 믿는다고 할 때 주로 쓰이고, 'trust'는 "신뢰하다", "신임하다", "믿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으면서 어느 정도 격식있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count on'에서 'count'는 "(수를) 세다", "계산하다", "계산에 넣다", "포함시키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전치사 'on'이 뒤에 붙어서 'count on'이 되면, "믿다", "확신하다", "의존하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