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밌는 영어

"돈독이 오르다" "돈 중심의"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한국말로 "돈독이 올랐다"는 표현을 할 때가 있는데 그말은 돈에 욕심이 생겨서 돈 밖에 모르는 사람을 표현할 때 쓰는 말이다.

 

"돈독이 오르다"를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

'money-oriented'라는 표현이 있는데 'orient'라는 단어가 동사로 쓰여서 "지향하다", "지향하게 하다"의 의미가 있고 과거분사 형태(oriented)로 자주 쓰이는 단어다. 과거분사 형태 'oriented'로 쓰일 때는 "~을 지향하는", "~지향의", "~중심의"로 해석하면 적절하게 이해가 된다.

그래서 'money-oriented'라고 하면 "돈을 지향하는", "물질(돈) 지향의", "물질(돈) 중심의" 등의 뜻이 되는데 의역을 하게 되면, "돈독이 오르는", "돈 밖에 모르는", "배금주의의", "돈을 중시하는" 등의 뜻이 되는 것이다.

 

영어로 다시 풀어 쓰면, 'focused on money and material possessions; materialistic'이 된다.

 

이 외에도 'oriented'가 들어가는 몇가지 예를 들어보면,

- 효율 중심의 : efficiency oriented

- 시간을 중시하는 : time oriented

- 학벌 중심의 : academic background oriented

- 시장을 중시하는 : market oriented

- 환자 중심의 서비스 : patient oriented service

- 비용 중심의 자동화 : cost oriented automation

* 공장에서 생산성이나 품질 위주의 자동화가 아닌 비용을 따지는 자동화를 의미함.

- 문법 중심의 영어 : grammar-oriented English

등이 있다.

예문을 들어보면,

 

You are so money-oriented!

너 돈독이 올랐구나!

 

America is money oriented society.

미국은 돈을 중시하는 (돈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사회이다.

 

America is efficiency oriented society and time oriented society but Korea is academic background oriented society.

미국은 효율 중심의, 시간을 중시하는 사회라고도 한다면 한국은 학벌 중심의 사회라고 할 수 있다.

 

Some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and Japan still prefer grammar-oriented English to practical and efficient English, which has to be improved in an urgent manner.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몇몇 아시아 국가에서는 아직도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영어보다는 문법 중심의 영어를 선호하고 있는데, 이는 시급히 개선되어야 한다.

 

The young woman is money-oriented.

젊은 여성은 돈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재밌는영어 #재미있는영어 #이럴땐영어로 #영어숙어 #영어표현 #영어공부 #영어학습 #영어관용표현 #영어관용어 #캐나다알부민 #캐나다산알부민 #알부민효능 #알부민가격 #알부민주사 #알부민성분 #알부민 #싱가폴알부민